1. 표지판의 뜻과 종류
기본적으로 표지판이란, 도로교통안전을 위해 도로 통행 방법, 통행 구분 등 지시가 필요할 경우 도로 이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표지입니다.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고 도로구조의 보전(保全)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측(路側) 또는 차도(車道)의 위쪽에 설치한 표지판이며, 표지판에 의하여 안내·경계(警戒)·규제 또는 지시를 합니다. 도로를 이용하는 자는 누구나 이 도로표지에 따라 올바른 통행(通行)을 해야 하며, 도로표지는 도로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합니다. 방향표지·이정표지·경계표지·노선표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관리청은 도로의 구조의 보전과 교통의 원활을 기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소에 도로표지를 설치·관리해야 하며, 도로표지의 종류·서식·기타 도로표지에 관한 필요한 사항은 건설교통부령으로 정합니다.(도로법 52조) 종류로, 도로표지에는 노선표지·경계표지·이정표지·방향표지 및 이것들의 내용을 보충하는 보조표지가 있는데, 도로법에 의하면 도로표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건설교통부령으로 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경계표지는 교차점이나 공사구간, 도로의 굴곡, 차선폭(車線幅)의 감소, 노면 상태 등에 대해 경고하는 표지이고, 이정표지는 목적지의 거리 안내를 하는 표지입니다. 방향표지는 교차로상의 방향 안내를 하는 표지이고, 노선표지는 주행하는 노선을 안내하는 표지입니다. 도로표지판은 도로의 종류와 노선별로 표지가 각각 형태와 색상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고속국도는 방패모양의 청색 바탕에 흰색 글씨, 일반국도는 타원모양의 청색 바탕에 흰색 글씨, 지방도와 시도는 각각 직사각형과 육각형의 황색과 흰색 바탕에 청색 글씨로 되어 있습니다. 도로표지는 인식하기 쉽고, 먼 거리에서도 표지의 종류를 판별하여 단시간 내에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야간에도 판독(判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목적에 알맞게 적절히 배치되어야 합니다.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표지방식은 문자를 주로 하는 미국 방식과 도형적(圖形的)인 기호를 주로 하는 유럽 방식이 있습니다. 도로표지의 지주에는 문형식·편지식·현수식·복주식·단주식 등이 있습니다.
2. 이정표 보는 방법
요즘 운전자들에게 내비게이션이 필수로 사용되고 있는데, 운전을 하며 내비게이션에만 집중하고 의지할 경우 길을 익히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전운전에도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비게이션에만 의존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속도로 표지판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으면 내비게이션 없이도 고속도로 주행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고속도로 상식으로 표지판과 이정표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고속도로 표지판은 모두 같은 것이 아니라 종류가 나뉜다고 합니다. 이정 표지판이란,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표지판 상단은 먼 곳, 하단에는 가까운 곳을 표기하며, IC(나들목)을 지나 1km 내외의 장소에 설치한다고 합니다. 분기점 표지판은 분기점 전방에서 나뉘는 도로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분기점으로부터 1.5km 전에 주행 방향 우측에 설치된다고 합니다. 노선 표지판은 주행하고 있는 방향의 도로 등급, 노선 번호를 알려주는 표지판으로 나들목이 나 분기점을 500m 정도 지난 오른쪽 방향에 설치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고속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IC, JC, TG, SA라고알파벳이 적혀있는 표지판이 있는데 IC란, 'interChange'의 약자로 나가다, 들어가다 를 뜻하는 나들목이라고 불립니다. 일반 도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도로를 의미하며, 고속도로 진입로, 출구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JC는 'JunCtion'의약자이며 분기점 갈림목으로 불리고 있으며, 고속도로와 다른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교차지점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TG란 'Tollgate'의 약자고 톨게이트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톨게이트는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로 고속도로를 이용한 비용을 지불하는 요금소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SA는 'Serbice Area'의 약자이며 휴게소입니다. 고속도로를 주행하며 화장실, 주유, 식당 등 편의시설을 이용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을 의미합니다.
3. 고속도로에서 위급시 나의 위치 보는 방법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시면 우측에 가드레일 쪽으로 작은 간판이 하나 보입니다. 위 녹색바탕의 하얀 숫자오 100이라고 표시한 글은 시점으로부터의 거리(km)를 나타냅니다. 아래 흰 바탕에 검은 글씨로. 7이라고 표기된 숫자는 소수점거리이며. km로 나타냅니다. (예시 : 100.7km) 고속도로 이기 때문에 항상 앞을 주시하며 한 눈을 팔아선 안되며 돌발 상황이 발생한다면 미처 대처할 시간이 없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항상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아야 하며,
만약 내비게이션 고장으로 목적지 노선에서 이탈했는데 눈에 보이는 고속도로 표지판마저 의미를 제대로 모른다면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나와 모두의 안전을 위해 고속도로 기본 상식 표지판과 이정표의 뜻을 숙지해 두신다면
당황하지 않고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항상 안전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A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임산부지원금 (0) | 2023.03.03 |
---|---|
제주도 폭설 항공,운항정보 (0) | 2023.01.24 |
추운 겨울 귀를 보호하는 방법 (1) | 2023.01.05 |
귀에서 삐 소리 이명 증상에 대해 (0) | 2023.01.03 |
커피가 인체에 미치는 안좋은 영향 (0) | 2023.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