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카테고리

2023년 임산부지원금

by 옥스키 2023. 3. 3.
728x90
반응형

2023년 부모급여

  • 지원시기 : 2023년도부터 지원
  • 소급여부 : 22년생까지는 소급 적용이 됩니다.                                                                                                                 *22년 11월생 : 남은 22년까지는 월 30만원 지급, 23년부터 부모급여 소급적용으로 월 70만원 지급
  • 지원형태 : 바우처 지급, 보육시설 보내도 지원금 수령 가능 
  • 지급액 : 만0세 (출생 후 1개월-11개월) 70만원                                                                                                                                만1세 (출생 후 12개월-23개월) 35만원

첫 만남 이용권

이 바우처는 병원비, 약제비등 출산 후의 아이 양육에 활용 가능하고 아이 출생일로 부터 1년 이내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 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혜택 : 200만원 바우처 지급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사용 가능)
  • 지급방식 : 국민행복카드
  • 지원금액 : 200만원 (쌍둥이는 400만원, 세 쌍둥이는 600만원)
  • 카드신청 : 주민센터, 복지로, 정부24

국민행복카드

  • 대상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 지원금액 :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 (분만 취약자 추가 40만원)
  • 지원항목 : 산모와 아기의 모든 진료비 및 약제 치료 구입비
  • 사용기간 : 출산 후 2년까지 사용 가능
  • 사용방법 : 복지로, 주민센터, 국민행복카드 지원 카드사 신청

바우처 이용 문의 : 1566-3232

 

임신 후기 태동검사 지원

  • 대상 : 24주 이상 자궁 수축이 없는 임산부 (1회, 만 35세 이상은 2회까지 환급 지원이 가능하며, 비급여 표시가 된 경우 환급 신청이 필요합니다.
  • 진료명세서에 '급여'라고 기재되어 있다면 보험적용이 된 상태이므로 따로 신청할 필요 없습니다.

환급받는 법

  •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로그인 https://www.hira.or.kr/main.do
  • 진료비-비급여 진료비 확인 신청 후 신청서 작성
  • 항목입력 및 환급받을 계좌 입력
  • 민원 내용에는 "태동 검사 비급여 환급"요청
  • 태동 검사 상세 진료비 사진 첨부 필수

산후도우미 서비스

  • 대상 : 부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 중위소득 150% 이하 신청 가능 (2인가구 4,890,128 이하)
  • 신청방법 : 복지로, 보건소
  • 사용방법 : 국민행복카드로 지원받은 바우처 금액에서 차감하여 사용되며, 지원되는 금액은 부부 소득금액에 따라 지원금액이 다르기에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여야 합니다.

출산 축하금, 장려금, 축하 물품

  • 출산 축하금 = 국민행복카드 지원 바우처
  • 출산 장려금 및 축하 물품 = 지역마다 금액 상이 (첫째부터 지원, 둘째부터 지원 등 상이함)

임산부 기차, 지하철 등 교통비 지원

기차

  • KTX임산부 동반 1인까지 특실 업그레이드 혜택
  • SRT임산부 동반 1인까지 지정석 30% 할인 혜택 (1인당 1회, 1일 2회, 1개월 9회까지 가능)

*각 기차 홈페이지에서 사전 임산부 등록 후 혜택 적용

 

각 지역 교통비 지원 (경기도X)

  • 서울 : 70만원
  • 대구 : 택시비 월 2만원
  • 양산 : 월 1만원
  • 여주, 가평 : 최대 30만원
  • 전북 완주, 진안, 장수, 임실, 부안, 순창, 진안 : 최대 58만원

출산 가구 전기요금 할인

온라인 신청 절차

  1. 한국 전력 사이버 지점 사이트 접속
  2. 출산 가구 또는 신청 접수
  3. 고객 번호 입력 후 조회
  4. 신청서 작성 : 아기 출생신고 후 주민등록번호 생성이 되어야 가능

가정양육수당

  • 대상 : 24개월 ~ 86개월 미만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지 않는 초등학교 입학 전의 아동
  • 혜택 : 0~11개월 아동은 월 20만원                                                                                                                                              12개월~23개월 아동은 월 15만원                                                                                                                                      24개월~85개월 아동은 월 10만원

*장애아동 양육수당은 35개월까지는 20만원, 36~86개월 미만까지는 10만원

  • 신청방법 : 주민센터, 정부24
반응형

'A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장기고객 장기혜택  (0) 2023.03.06
서진이네 정보  (1) 2023.03.03
제주도 폭설 항공,운항정보  (0) 2023.01.24
도로교통 표지판 뜻과 기본상식  (0) 2023.01.15
추운 겨울 귀를 보호하는 방법  (1) 2023.01.05

댓글